‘청일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박훈 한일 역사의 갈림길]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1894년 청일전쟁 당시 일본 보병들이 사격을 하는 모습. 청일전쟁은 아시아 패권을 걸고 조선 땅에서 청일이 맞붙은 전쟁이다. 당시 조선 정부는 “싸우려면 조선 밖에서 싸우라”고 무력하게 외칠 뿐, 이들을 막아낼 군사력도 외교력도 없었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1894년 청일전쟁 당시 일본 보병들이 사격을 하는 모습. 청일전쟁은 아시아 패권을 걸고 조선 땅에서 청일이 맞붙은 전쟁이다. 당시 조선 정부는 “싸우려면 조선 밖에서 싸우라”고 무력하게 외칠 뿐, 이들을 막아낼 군사력도 외교력도 없었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1894년 한반도에서 청일전쟁이 발발했다.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난 것은 1637년 병자호란 후 무려 250여 년 만이었다. 이렇게 오랜 기간 전쟁이 없는 것은 세계사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일이다. 그것은 팍스 시니카(Pax Sinica·청에 의한 평화)로 가능한 것이었다. 조선은 ‘청에는 사대외교, 일본에는 교린외교’라는 정교한 외교술로 ‘태평천하’를 구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결과 조선은 당시 유수한 국가 중 가장 비무장상태에 가까운 국가가 되었다.》

‘천하의 요충지’ 한반도의 눈물

국제정세가 이렇게만 지속되었다면 별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대변동이 찾아왔다. 메이지 일본이 신흥세력으로 팍스 시니카에 도전한 것이다. ‘천하의 요충지’ 한반도는 국제정세의 대변동, 즉 패권다툼이 벌어지면 늘 시련에 직면하곤 했다. 송에 대한 몽골의 도전으로 고려는 쑥대밭이 되었고, 명에 대한 도요토미 히데요시, 누르하치의 도발은 임진왜란·정묘호란·병자호란을 불러왔다. 250여 년 만에 패권다툼이 벌어지자 한반도는 또다시 그 한복판으로 끌려들어갔다. 그 70년 뒤에는 미소 패권다툼 속에서 6·25전쟁이 벌어졌다. 그 후 70년간의 평화가 찾아 왔지만, 작금 벌어지고 있는 미중 패권다툼은 그런 면에서 매우 불길하며 북핵과 대만 문제는 그 선명한 징조다.

1884년 갑신정변 실패로 일본세력은 한반도에서 물러나고 조선은 청의 위안스카이와 민씨 세력의 독판이 되었다. 이로부터 청일전쟁이 일어난 10년 동안 실질적인 ‘조선통감’ 위안스카이와 민씨들은 아무런 일도 하지 않았다. 시간에는 물리적 시간과 역사적 시간이 있다. 같은 10년이라도 예를 들어 1820∼1830년의 10년과, 이 시기 10년의 ‘역사적 밀도’는 천양지차다. 세상은 10배의 속도로 변해가고 있었다. 밀도가 높은 시기인 만큼 더욱 농밀하게 살아내야 했지만, 조선의 위정자들과 조선을 개혁한답시고 군림하던 위안스카이가 이 10년 동안 무슨 개혁을 했는지 나는 알지 못한다.

그런 동안 일본은 서남전쟁(西南戰爭)이라는 내란을 진압하고 본격적으로 부국강병과 문명개화에 매진했다. 그 주역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다. 막대한 전쟁비용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지주들의 반발을 억누르고 초긴축전쟁을 단행했다(마쓰가타 디플레이션). 그 효과로 1880년대 중반 ‘공업발흥’이라 불리는 호경기가 찾아왔다. 세수는 늘어났고 예산의 10%대에 머물던 군사비는 25%를 돌파했다. 1889년에 헌법을 제정하고 의회를 개설하여 반정부세력까지도 일본이라는 국가 밑에 결집시켰다.

이 ‘밀도 높은 역사적 10년’이 모든 걸 결정지었다. 정한론분쟁(1873년), 임오군란(1882년), 갑신정변(1884년) 등에서 마주한 한일의 국력 차는 아직 일본이 함부로 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다. 그러나 1894년 청일전쟁 직전 한일의 국력 격차는 심하게 벌어져 있었다. 10년 전의 국력 차만 유지되었더라도 일본은 감히 한반도를 침략하지 못했을 것이다. 개인 간에 벌어진 시비에서는 남을 탓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국가 간에는 제일 먼저 자신에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일본의 침략근성에 대한 비판은 그 다음에 해도 늦지 않다.

청일, 한반도서 ‘조선 쟁탈’ 전쟁

전봉준이 이끄는 동학봉기가 일어나자 조선 정부는 청에 진압군을 요청했다. 애초에는 청도 일본도 골치 아파했다. 청은 파병을 선뜻 결정하지 못했다. 일본 역시 청군에 동학군 진압을 맡기자는 의견과, 청이 파병하면 일본도 즉시 파병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섰다. 일본 내에서는 가와카미 소로쿠(川上操六) 육군참모차장을 필두로 군부가 즉시 파병을 주장했고, 애초엔 신중했던 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陸奧宗光)가 이에 동조했다. 수상 이토 히로부미는 청과의 군사충돌이 부담스러웠으나 야당이 국내문제로 정부 불신임 결의를 하는 등 국내 정세에 돌파구가 안 보이자 개전으로 기울었다.

일본군의 파병은 예상보다 신속했고 대규모였다. 청군이 충남 아산으로 들어온 데 비해 일본군은 인천을 통해 들어와 서울을 장악했다. 한때 전주성까지 점령했던 동학군은 이미 해산한 상태였다. 주둔 명분이 사라지자 청군은 철수를 제안했으나, 이미 대군을 파견하여 ‘다른 욕심’이 생긴 일본은 거부했다. 하지만 철병거부의 명분이 필요했다. 외무대신 무쓰조차도 “표면상 마땅한 구실이 없어 교전할 이유도 없었으므로, 이러한 답보적인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인가 외교적인 정략을 통해 이런 정국을 일신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상황”이었다고 회고록(무쓰 무네미쓰 ‘건건록’)에서 고백하고 있다.

무쓰는 청에 조선을 이대로 놔두면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군 봉기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 계속 ‘동양의 화근’이 될 터이니 이참에 청일 양국이 공동위원회를 구성해 조선내정을 개혁하자고 제안했다. 청 혼자만 먹지 말고 나눠 먹자는 심산이었다. 이에 청은 “조선의 개혁은 조선 스스로가 할 일이며 중국조차도 아직까지 내정간섭을 안 하고 있다. 일본국은 처음부터 조선이 자주국임을 인정해왔으니 더더구나 내정에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거부했다. 계속 독차지하겠다는 말이었다. 이런 논의에 조선 정부가 끼어들 자리는 없었다.

한반도 위협하는 ‘역사의 반복’

1894년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중국을 상대로 승리한 상황을 풍자한 영국 잡지 ‘펀치’의 삽화.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1894년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중국을 상대로 승리한 상황을 풍자한 영국 잡지 ‘펀치’의 삽화.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결국 일본군은 청군을 선제공격했다. 조선이 참여하지도, 원하지도 않은 전쟁이 조선 땅에서 벌어진, 유례없는 전쟁이었다. 당시 조선 정부는 “싸우려면 조선 밖에서 싸우라”고 했지만 양군의 상륙을 막아낼 군사력도, 이런 말도 안 되는 상황을 세계 각국에 호소할 외교력도 없었다. 전쟁은 백성에게 막대한 고통을 안겼지만, 전쟁 후에도 국왕 고종과 민씨 세력은 건재했다. 위안스카이 자리를 일본이 차지했을 뿐이었다.

청일전쟁으로 장구한 세월동안 유지되어 왔던 중국의 영향력은 사라졌다. 그 틈을 러시아와 일본이 치고 들어왔다. 그러나 중국세력은 6·25전쟁 참전으로 불과 50여 년 만에 한반도에 복귀했다. 남쪽에는 일본 대신 미국이 들어왔다. 최근 격화되는 미중 대립은 ‘천하의 요충지’ 한반도를 다시 위협하고 있다. 가공할 만한 역사의 반복이다. 다만 한 가지 달라진 조건이 있다. 계속되는 역사의 장난 속에서도 기어이 선진국이 된 대한민국이라는 존재다. 대한민국의 시민들이야말로 ‘역사의 장난’을 거부할 ‘민족사의 주체’다. ‘청일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청일전쟁#팍스 시니카#태평천하#비무장상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